‘더워서’ 제주 소라 울진까지 갔다

‘더워서’ 제주 소라 울진까지 갔다

이성중 0 81 06.24 13:51

인스타 팔로워 사는법

경북 울진군에서 발견된 소라의 유전적 특성이 제주 앞바다(남해)에서 서식하던 소라와 동일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변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소라의 서식지가 북상한 것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의 양현성 박사 연구팀과 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조영관 박사 연구팀은 23일 “제주와 동해안(울진)에 서식하는 소라의 생리·생태·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한 유전적 특성이 있는 종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양환경공단의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르면 남해안(북위 33~35도)에 주로 서식하던 소라가 2018년 기준 북위 37도(울진 인근)까지 서식 범위를 확장했다. 서식지가 220㎞가량 북상한 셈이다. 연구진은 이 조사를 근거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갯녹음(바다 사막화) 현상이 저서 생태계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던 중 두 해역에 서식하는 소라의 유전적 동일성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소라의 서식지가 남해에서 동해 연안으로 북상한 현상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온 상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해양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의 북방한계선이 점차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소라 개체군 감소의 주요 원인이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때문이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를 진행한 해양과학기술원 제주바이오연구센터 연구팀은 “지금까지 갯녹음 현상이 제주 해역에 서식하는 소라의 먹이 변화를 일으켜 소라 개체군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지만, 먹이 변화보다는 고수온 환경이 면역 기능을 저하시킨 주요 요인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덜란드의 국제적 학술지인 ‘애니멀즈’에 게재됐다.

Comments

Service
Poll
결과
키우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아요.
| 하트호야 1P 싱그러운 소형 식물 모종
아이들이 더 좋아할것같아요!
| 이오난사 테라리움 틸란드시아 공기정화식물 먼지제거
ㅋㅋㅋ 선인장 커염네
| 피쉬본 생선뼈선인장
010.3489.0501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

Bank Info

농협 301-0330-7197-41
예금주 이형욱 (그린플래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